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구직 취업 플랫폼 관련 이미지
    구직 취업 플랫폼 이미지

     

    본 포스팅은

    대학교 취업 부서에서 실제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가장 체계적으로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고민만 하지 마시고, 이 글을 읽고 바로 실행해 보세요.

     

    첫째, 구직 취업 플랫폼 기본 지식

    1. 대학생 선호 구직 취업 플랫폼 유형

    대학생들이 구직 취업 정보 사이트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채용 공고의 질, 사용자 편의성, 네트워킹 기능, 무료 서비스 제공 여부 등입니다.

     

    • 전문 취업 사이트: 잡코리아, 사람인, 인디드와 같은 대형 취업 플랫폼은 다양한 채용 공고를 제공합니다.
    • 네트워킹 중심 사이트: 링크드인과 같은 플랫폼은 인맥 형성과 커리어 정보를 얻기에 유리합니다.
    • 대학 연계 채용 사이트: 대학별 취업센터, 대학일자리센터,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는 신뢰성이 높고, 맞춤형 채용 공고를 제공합니다.
    • 스타트업 및 프리랜서 플랫폼: 원티드, 크몽, 피버 같은 플랫폼은 스타트업 취업이나 프리랜서 일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대학생 구직 취업 플랫폼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손품, 발품을 팔아서 시간을 투입해야 합니다. 그러면 본인 직무 적성과 관련된 정보가 보이고, 또 다른 길도 보일 수 있습니다. 그 어떤 것도 신경 쓰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가는 거북이처럼요. 

    사이트 주요 특징 장점 단점
    잡코리아, 사람인 대규모 채용 공고 제공 공고 수 많음, 신뢰도 높음 지원자가 많아 경쟁률 높음
    링크드인 네트워킹 및 글로벌 채용 인맥 관리 가능, 해외 취업 유리 국내 채용 공고 적음
    원티드 추천 기반 채용 시스템 맞춤형 공고 추천, 보상제도 전통적인 공채 정보 부족
    학교 취업 사이트 대학별 맞춤 공고 제공 신뢰성 높음, 교수 추천 가능 공고 수가 제한적
    프리랜서 플랫폼 (크몽, 피버 등) 프로젝트 기반 구직 유연한 근무 가능, 추가 수익 창출 안정적인 정규직 공고 부족

    둘째, 구직 취업 플랫폼 종류 

    1. 대학별 취업센터 /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121개 대학 설치) : 각 대학의 취업센터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 각종 취업정보가 정말 많아요. 하루에 한 번은 사이트 출석체크~~~ 

     

    고용 24 사이트 :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소개  _   대학별 검색: 000 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https://m.work24.go.kr/cm/c/f/1100/selecSystInfo.do?currentPageNo=1&recordCountPerPage=10&upprSystClId=SC00000001&systClId=SC00000194&systId=SI00000337

     

    온통청년 사이트 : 정부 청년정책(지원금, 컨설팅, 취업정보 등)  특히 대학생 지원금 반드시 신청해서 타 먹어야 합니다.

    https://www.youthcenter.go.kr/main 

     

    워크넷 사이트 : 고용노동부서에 운영하는 취업 포털

    https://www.work24.go.kr/cm/main.do

     

     

     

    2. 지역별 청년센터: 청년들을 위한 정보제공, 교육, 멘토링, 컨설팅

    https://www.youthcenter.go.kr/youthApply/ythCenter/ythCenterMain

     

    3. 민간 구직 취업 사이트 : 잡코리아나 사람인은 거의 무차별하고, 잡플래닛은 반드시 참조해 보세요.

     

    잡코리아 : https://www.jobkorea.co.kr/

    사람인 : https://www.saramin.co.kr/

    잡플래닛: https://www.jobplanet.co.kr

    셋째, 구직 취업 플랫폼 실행

    • 이력서와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모든 구직 사이트에서 최신 상태를 유지하십시오. 새로운 스펙이 생기면 계속 업그레이드하세요.
    • 네트워킹 활용: 링크드인에서 관심 있는 기업 및 인사 담당자와 연결해 보세요. 자신감이 생깁니다. 
    • 다양한 플랫폼 병행 사용: 한 가지 사이트에 의존하지 말고 여러 플랫폼을 활용하셔서 공통적인 정보를 추출해 보세요. 
    • 채용 공고 분석 및 맞춤 지원: 기업별 요구하는 맞춤형 지원서를 작성을 검토하고, 기업별 면접 준비 대응 전략을 만들어 보세요. 
    • 이력서 제출: 서류전형에서 탈락하더라도 이력서를 무한 제출하십시오. 면접 전형도 회사를 거르지 말고 무조건 참여하세요. 이러면 지원자의 선택 폭이 넣어집니다.

    결론 시간을 계속 투입해야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